Na의 공부 블로그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Na의 공부 블로그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55)
    • 잡담 (2)
    • 일상 (0)
    • PLAYDATA (24)
      • PLAYDATA회고 (0)
      • PLAYDATA데일리노트 (24)
    • Python라이브러리 (3)
    • 인공지능 (4)
      • 강화학습 (4)
    • 임시글 (0)
    • Computer Science (21)
      • 선형대수학 (15)
      • 확률과 통계 (6)

검색 레이어

Na의 공부 블로그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PLAYDATA

  • [PLAYDATA] 데이터 엔지니어링 8월 4주차 8/24

    2023.08.24 by Na느님

  • [PLAYDATA] 데이터 엔지니어링 8월 4주차 8/23

    2023.08.23 by Na느님

  • [PLAYDATA] 데이터 엔지니어링 8월 4주차 8/22

    2023.08.22 by Na느님

  • [PLAYDATA] 데이터 엔지니어링 8월 4주차 8/21

    2023.08.21 by Na느님

  • [PLAYDATA] 데이터 엔지니어링 8월 3주차 8/18

    2023.08.18 by Na느님

  • [PLAYDATA] 데이터 엔지니어링 8월 3주차 8/17

    2023.08.17 by Na느님

  • [PLAYDATA] 데이터 엔지니어링 8월 3주차 8/16

    2023.08.17 by Na느님

  • [PLAYDATA] 데이터 엔지니어링 8월 3주차 8/14

    2023.08.17 by Na느님

[PLAYDATA] 데이터 엔지니어링 8월 4주차 8/24

8월 24일 계속해서 SQL수업을 나갔다. 직접 실습을 해 보면서 익숙해지는게 좋겠다. 이번 블로그 내용은 강사님이 지금까지 주신 모든 Oracle SQL PPT내용을 공부하여 정리한 내용이다. KEY의 구분 KEY는 column에 해당하는 카테고리를 의미한다. PRIMARY KEY는 table을 대표하는 key로, 값의 중복이 없어야 하며, NULL값을 가질 수 없다. COMPOSITE KEY,는 PRIMARY KEY 역할을 하나, 열이 2개 이상으로 구성된 KEY이다. ALTERNATE KEY는 CANDIDATE KEY에 속하지만, PRIMARY KEY가 아닌 모든 키를 말합니다. 즉 CANDIDATE KEY = PRIMARY + ALTERNATE KEY FOREIGN KEY는 어떤 table에 있는..

PLAYDATA/PLAYDATA데일리노트 2023. 8. 24. 09:50

[PLAYDATA] 데이터 엔지니어링 8월 4주차 8/23

8월 23일 SQL 두번째 수업이다. 참고로 오늘 배운 내용 대부분은 전날(8/22)에 배웠던 것과 유사한 주제이기 때문에 22일자 포스트에 정리해 놓았다. 오늘은 어려운 개념은 하나도 없었는데 개념 양 자체가 많았다. 이해는 쉬운데 암기가 어렵다. Oracle SQL 조작(계속) SQL콘솔에서 슬래시(/)는 파이썬의 세미콜론(;) 역할과 같다. 다음에 나올 라인을 연속적으로 입력하는 효과가 있다. 예를들어 conn / 라고 입력하면 패스워드를 입력하라는 메세지 없이 바로 연결이 된다. Oracle SQL Developer 사용법 새로 만들기 Name: Developer 프로그램에 접속할 때 쓰이는 이름 사용자 정보-사용자 이름: SQL에 지정된 ID 사용자 정보-사용자 이름: SQL에 지정된 PW 세부..

PLAYDATA/PLAYDATA데일리노트 2023. 8. 23. 09:31

[PLAYDATA] 데이터 엔지니어링 8월 4주차 8/22

8월 22일 오늘 처음으로 SQL 수업을 시작했다. DB나 SQL쪽은 아예 손대본 적이 없어서 배우는 내용마다 새로웠다. 하지만 별로 어려운 건 아닌 것 같다. API API가 뭔가?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약자로, 응용 프로그램과 응용프로그램 또는 응용 프로그램과 시스템 프로그램끼리 소통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일부이다. API는 외부로부터 들어온 입력에 대해 내부 프로그램에 맞게 입력값을 가공한 후 내부 프로그램으로 전송하는 부분과, 반대로 내부로부터 값을 받아서 출력값을 가공한 후 외부로 전송하는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JSON JSON이란 키-값으로 이루어진 데이터들을 계층화 시키고 이를 공통적인 방법으로 다룰 수 있게 하는 표준 파일 형식이다. import ..

PLAYDATA/PLAYDATA데일리노트 2023. 8. 22. 09:52

[PLAYDATA] 데이터 엔지니어링 8월 4주차 8/21

8월 21일 두번 째 주가 시작되었다. 주말은 나름 잘 쉬고 온 것 같다. 같은 기수 분들이랑 어느정도 친해진 것 같아서 기분이 좋았다ㅎㅎㅎㅎㅎ string관련 함수 str.split() argument에 아무것도 없는 경우, space, \n을 전부 지움 str.strip(character) str속에 포함된 character 전부 지우기 -> strip의 argument가 아무것도 없으면, 문자열 맨 앞뒤의 space와 \n제거 str.join(list) list 안에 있는 string들을 str을 사이에 끼워서 하나로 연결 str.find(str1) str속에 str1 문자열이 어디에 있는지를 확인. 해당하는 str1 부분의 첫 인덱스를 반환. 없으면 -1 반환 -> str.find(str1, st..

PLAYDATA/PLAYDATA데일리노트 2023. 8. 21. 09:08

[PLAYDATA] 데이터 엔지니어링 8월 3주차 8/18

8월 18일 수업은 어제 배웠던 클래스 개념을 쭉 이어서 설명하고 있었다. 나는 기존에 이미 C++을 사용해 왔기 때문에 클래스 개념을 잘 받아들일 수 있었지만, 처음 접하는 사람에게는 많이 어려운지 수업시간을 클래스 개념에 상당한 부분을 부여하고 있었다. 그래도 다들 열심히 배우려는 것 같다. 정적 메서드 정적 메서드란, 클래스의 멤버 함수들을 객체 생성 없이 호출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 어떤 메서드들을 특정 클래스라는 카테고리로 묶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다. 사용법: 멤버함수에 @staticmethod 데코레이터를 붙인다. 정적메서드는 self 라는 argument가 없음에 유의. 정적 메서드 호출은 class_name.func(args, ...) 형태로 점(.) 앞에 클래스 이름이 온다. 클래스 ..

PLAYDATA/PLAYDATA데일리노트 2023. 8. 18. 11:26

[PLAYDATA] 데이터 엔지니어링 8월 3주차 8/17

8월 17일 오늘 3번째 수업이다. 오늘은 함수와 클래스 수업을 하는 날이다. 확실히 6개월 만에 많은 내용을 배울 예정이다 보니, 파이썬 문법은 확실히 빠르게 진도를 나가는게 느껴진다. 과거에 파이썬을 써 본적이 있었는데 지금은 복습한다는 개념으로 수업을 듣고 있다. print함수 기본형: print(str) str은 +나 ,로 묶인다. +의 경우는 str만 피연산자가 가능하고 공백이 없이 묶인다. ,의 경우는 다른 형식의 피연산자도 가능하고 공백이 자동으로 생긴다. end 옵션이 있는데, end="" 옵션을 넣을 경우 줄바꿈을 하지 않는다. c언어처럼 %를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다만 형태는 좀 다르다. 형태: print("%s는 나의 친구입니다." %name) print("반지름: %d, 원주율..

PLAYDATA/PLAYDATA데일리노트 2023. 8. 17. 15:54

[PLAYDATA] 데이터 엔지니어링 8월 3주차 8/16

8월 16일 두번째 수업날이다. 저번 수업때의 내용을 잠깐 리마인드 하고 다음 진도를 나갔다. 오늘 처음으로 파이썬에서 함수라는 개념이 수업에 나왔었다. 나는 전공자이기도 하고, 따라서 파이썬을 쓴 적이 있어서 함수 개념은 이미 알고 있어서 이해하는데는 무리가 없었다. 집합 연산 합집합: set.union(set1, set2) (set1 | set2) 교집합: set.intersection(set1, set2) (set1 & set2) 차집합: set.difference(set1, set2) (set1 - set2) 대칭차집합: set.symmetric_difference(set1, set2) (set1 ^ set2) 중복되지 않은 elements를 대입: set1.update(set2) (set1 |=..

PLAYDATA/PLAYDATA데일리노트 2023. 8. 17. 15:53

[PLAYDATA] 데이터 엔지니어링 8월 3주차 8/14

8월 14일 오늘 첫 수업이다. 첫 수업인 만큼 살짝 긴장도 했지만 그래도 생각보다 괜찮았다. 앞으로 이 블로그에 매일 간단한 회고록을 작성할 예정이다. type() 타입반환(반환 자료형은 string이 아닌 inline이다!) 숫자 진법 변환 bin() bin형식의 문자열 반환 oct() oct형식의 문자열 반환 hex() hex형식의 문자열 반환 'a"bc"d'나 "a'bc'd" 형태의 문자열이 가능하다. '''(three single quotations) 여러 행의 문자열을 입력가능 ex) long_str = '''abcd efgh ijkl''' (아무 것에도 대입되지 않으면 주석 역할을 한다) 문자열변수*n 하면 문자열이 n번반복됨 ;(세미콜론)은 한 줄에 여러 lines를 작성하기 위해 사용 p..

PLAYDATA/PLAYDATA데일리노트 2023. 8. 17. 15:53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다음
TISTORY
Na의 공부 블로그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